
[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대전시가 수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도입하려고 했던 공무원 근무복의 디자인이 혹평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시가 공개한 시제품이 해외 명품 브랜드 제품을 그대로 모방한 듯한 디자인이어서 대전시의회(의장 조원휘) 행정사무감사(이하 행감) 도마에 올랐다.
시의회는 11일 오전 제282회 제2차 정례회에서 행정자치국을 대상으로 행감을 진행했다.
이날 이용기 의원(국민·대덕구3)은 시가 공개한 근무복 시제품 디자인에 대해 집중 질문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2월 디자인 개발 용역비로 5000만 원을 편성해, 지난 1월 대전디자인진흥원(원장 권득용·이하 진흥원)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후 진흥원은 3월 1850만 원을 지출해 A업체에게 직원 근무복 디자인 용역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이 의원은 “최종 선정된 것 세 가지를 보면 해외 명품 브랜드 의류를 너무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며 “1850만 원의 예산을 들여 디자인을 맡겼는데, 결과물이 저 정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첫 번째 시제품의 디자인을 살펴보면 이탈리아 업체의 제품과 너무 비슷한데, 해당 업체는 제품 모방 문제로 소송을 여러 차례 한 전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시 대책이 있는가”라며 “시의회에서 기성복을 구입하는 게 어떤가라는 의견이 있었는데, 반영되지 않았고 최종 선정된 것은 내년에 제작할 것인가”라고 질문했다.
이 의원은 또 “디자인하는 것 이외에 무엇을 했길래 진흥원에 인건비 500만 원을 지급했나”라고 묻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전재현 국장은 진땀을 빼며 이 의원의 질문에 답했다.
그는 “제가 디자인 전문가가 아닌 만큼 확언은 드릴 수 없지만, 세부적으로 모방한 시제품의 디자인이 조금 다른 만큼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기성복 비용은 디자인 업체 용역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상적으로 시제품은 완성품이 되면 퀄리티(질)이 올라간다”며 “직원들의 선호도에 따라 검정색상 근무복을 추가로 제작할 것을 검토해 예산에 반영하려고 했지만, 국세가 30조 원 공백이 생기는 등 재정난에 따라 지방교부세도 대폭 삭감된 상황”이라고 난색을 표했다.
끝으로 전 국장은 “디자인이 아니더라도 회의 등 전반적으로 검토해야할 부분이 있는 만큼 진흥원에 인건비 500만 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굿모닝충청>과 통화에서 “소송이야 하겠냐만은 젊은 공무원들이 바깥에 돌아다닐 때 자부심을 느껴야 하지 않느냐”며 “근무복을 보고 짝퉁이라는 둥 웃음거리가 돼서는 안 된다. 진흥원에도 디자인을 재검토하라고 주문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