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지난 2021년 4월 있었던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명태균이 실질 운영했던 미래한국연구소가 13회나 비공표 여론조사를 실시했는데 오세훈 서울시장 측의 선거비용 지출 내역엔 이에 대한 내용이 없어 논란이 된 바 있다. 그리고 이 비용 일부를 오세훈 시장의 스폰서로 알려진 김 회장이 대납했다는 의혹이 뉴스타파 보도로 나왔다. 그런데 이 두 사람이 최근 서로 손발이 안 맞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우선 오세훈 서울시장은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후보 단일화를 전후해 명태균 측에 여론조사를 의뢰한 적도 결과를 받아본 적도 없다는 점부터 분명히 하며 강한 어조로 해명했다. 또한 명태균과의 관계에 대해선 국민의힘 김영선 전 의원 소개로 2021년 1월 두 번 만난 게 전부라고 했다.
또한 후원자 김 씨의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과 관련해선 "우리 캠프에서 필요 없다고 하는데 이걸 왜? 비용이 들어갔을 텐데 이걸 왜 했겠나? 하는 오히려 의문을 가질 정도로 저로서는 정말 지금 상황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당시는 여론조사가 쏟아질 때라 명 씨에게 따로 돈을 주고 부탁할 필요가 없었다"고 했다.
즉, 명태균에게 비공표 여론조사를 의뢰한 적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었으니 당연히 돈을 줄 일도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자신을 둘러싸고 최근 불거진 잡음은 오 시장 캠프를 발판삼아 중앙 정계에 진출하려다 실패한 이들의 악감정에서 나온 거라고 추측했다.
그러면서 "왜 오세훈 측이라고 자꾸 표현하는가? 받은 사람이 분명히 있을 거고. 그 사람 밝히시라"며 당시 여론조사 결과를 누구에게 넘겼는지 명확하게 밝히라고 공개 요구했다. 하지만 이런 오세훈 시장의 해명은 26일 저녁 MBC 단독 보도로 나온 김 회장의 말과는 전혀 상반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결정된 뒤인 2021년 11월 22일에 있었던 명태균과 강혜경 씨 간 통화 녹취록을 들어보면 명태균이 "자체 조사하는 거는 나중에 가서 나한테 전화를 줘요. 사무실에. 돈은 내가 저 누구냐, 김○○씨한테 입금시키라고 할게. 한 200 있으면 되겠죠?"라고 말한 부분이 있다.
대선 여론조사를 실시하면서 발생한 그 비용을 오세훈 시장 후원자 김 회장으로부터 받으란 것이었다. 이미 서울시장 선거가 끝나고 7개월이 지나 김 회장에게 입금을 요구한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김 회장은 MBC 측에 "윤석열이라고 얘기는 뭐 말은 안 하지만 아니 뭐 지가 여론조사해갖고 뛰어다니는 거 아니까 윤석열 밖에 더 있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 회장은 명태균 측에 윤석열 후보 관련 대선 여론조사 비용인줄 알고 몇백만원을 보냈다고 시인했다. 또 그는 명태균에게 "내가 농담으로 웃으면서 '백배 천배 갚아, 나중에, 윤석열이 되면 백배 천배 갚아.'라고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유에 차이는 있지만 어쨌든 김 회장 본인이 명태균 측에 돈을 건넨 사실을 인정한 셈이다.
강혜경 씨는 명태균이 윤석열 후보측에 유리한 대선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해주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의원의 경남 창원시 의창구 국회의원 보궐선거 공천을 받아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검찰은 지방선거 예비후보자들이 공천을 바라고 명태균 측에 건넸다는 2억 4000만 원이 여론조사 비용으로 흘러갔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이런 와중에 자신이 대선 여론조사 비용을 냈다는 첫 증언이 나온 것이다. 김 회장은 명태균이 요청해 개인적으로 돈을 줬다는 입장이다. 이유에 차이는 있지만 이미 강혜경 씨의 변호인인 노영희 변호사가 "뉴스타파 측에서 보도한 김 회장이 명태균 측에 건넨 액수 3300만 원은 일부분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서울시장 비공표 여론조사 비용 명목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렇게 오세훈 시장과 김 회장이 서로 손발이 꼬이는 모습을 보이는 셈이다. 또한 김 씨가 비용을 낸 비공표 여론조사 결과가 당시 국민의힘을 이끌던 김종인 비대위원장에 전달되고, 당의 싱크탱크격인 여의도연구원에도 들어갔다는 증언이 나온 상황에서 정작 당사자인 오 시장만 받아보지 않았다는 해명은 더욱 설득력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뉴스타파가 26일 김 회장이 운영한 사단법인 공생학교 이사진 대다수가 서울시 관련 기관의 임원으로 취업한 사실도 추가로 보도했다. 오 시장의 여론조사를 둘러싼 의혹은 사그러들기는커녕 오히려 더 커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