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종혁 기자] 충북지역 시민사회가 ‘12·21제천화재참사’와 ‘7·15오송참사’ 등 지역의 대형참사에 대한 피해자 지원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12·21제천화재참사대책위원회와 7·15오송참사대책위원회를 비롯해 전국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재난피해자권리센터 ‘우리함께’가 7일 충북도청에서 제주항공참사 피해자와 유족을 위로하는 묵념을 시작으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먼저 참사 7주기를 맞은 제천화재참사 피해자 유가족들은 앞서 충북도의회가 지원조례를 발의하고 스스로 폐기한 부분을 지적하며 조속한 통과를 요청했다.
제천화재참사 민동일 공동대표는 ”충북도의회는 유가족지원조례를 발의해 놓고 스스로 부결해 유가족을 두 번 울렸다. 1월 도의회에서 유가족지원 조례를 제정해달라“며 “유가족들은 충북도와 충북도의회의 책임있는 결단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제천화재참사 발생 7년동안 돌아가신 부모님을 그리워하던 자녀 3명이 숨을 거두는 등 참사의 아픔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위를 숙연하게 했다.
이어 오송참사 대책위는 피해자 지원과 추모공간 마련 등 종합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 박지나 씨는 “아직도 최고책임자 기소 여부를 알 수 없다”며 “피해자지만 피해자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우리를 투명인간 취급하지 말아달라, 진상조사와 피해자 지원 및 추모공간을 마련해 달라”고 말했다.
이날 자리를 함께한 윤석기 재난참사피해자연대 부대표는 “제천화재참사와 오송참사는 평상시 행정기관의 관리·감독 무능과 무관심, 직무태만으로 기인한 참사”라며 “반복되는 참사를 막기 위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피해자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천명했다.
재난피해자연대는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세월호참사, 광주학동참사, 공주사대부고병영체험학습참사, 가습기살균제참사, 삼풍백화점붕괴참사, 스텔라데이지호침몰참사, 씨랜드청소년수련원화재참사, 인천인현동화재참사의 피해자연대 단체다.
이선영 충북참여연대 사무처장은 “반복되는 대형참사 피해자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 반복되는 참사 막기 위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피해자 지원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