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최영규 기자]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16일 이진숙 교육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 해명에 대해 "공정한 검증에 대한 모욕이며, 김건희 논문 표절도 부정하는 것과 같다"며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검증단은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정부의 이중적인 태도에 분노한다"며 "이재명 정부가 최소한의 상식마저 무시하는 우를 범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검증단은 이날 공식 입장문을 통해 "검증단을 못 믿으면 김건희 논문 표절도 부인하는 게 된다. 공정한 잣대로 검증한 국민검증단에 대한 모욕과 여당의 이중적인 태도에 매우 분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본인을 학회지 논문의 제1저자로 하면서 학생의 석박사 학위논문임을 밝히지 않은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검증단은 이번 논란과 관련해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오직 학자의 입장에서 객관적 사실을 있는 그대로 국민께 밝혔을 뿐"이라며, "김건희씨의 논문을 검증하고 명백한 표절이라고 발표했을 때 박수쳤던 민주당이 이번에는 더 심각한 연구부정에 대해 눈을 감을 뿐 아니라 검증단을 공격하는 것은 파렴치한 처사가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김건희와 달리 이진숙 후보자는 교수이며 총장을 역임했기에 논문 표절에 대한 책임이 같을 수 없음은 자명한 사실"이라며, "더구나 학생의 학위논문을 이용해 자신을 학회지 논문의 제1저자로 한 것은 교육자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검증단은 끝으로 "이재명 정부가 최소한의 상식마저 무시하는 우를 범하지 말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며, "이것이 국민주권정부가 취해야 할 태도"라고 직격했다.

앞서 이진숙 후보자는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논문 표절과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 적극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제자와 함께 연구를 수행한 뒤 기여도에 따라 저자 순서를 정했다"며 "제자보다 본인의 기여가 높으면 당연히 제1저자가 되는 것이며, 제자 이름을 뺀 채 본인 이름만 올린 적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이공계는 교수 주도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논문이 작성되는 게 일반적"이라며, 학계의 관행임을 강조했다.
표절 의혹에 대해서도 "카피킬러 수치만으로 표절을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2007년 이후 논문 100편을 전문가가 검토한 결과 평균 유사율이 10% 이하였다"고 주장했다.
한편 국민검증단은 지난 14일 서울역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후보자의 논문 16편에서 연구윤리 위반 정황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검증단의 분석에 따르면, 제자의 석박사 학위논문임에도 이를 밝히지 않고 이진숙 후보자가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경우가 8건, 교신저자만 표기한 경우가 2건, 제자의 논문보다 먼저 본인이 논문을 낸 경우가 4건, 동일한 논문을 중복게재한 경우가 2건이었다.
또한 IRB(인간 대상 연구윤리 심의) 승인 여부를 제대로 밝히지 않은 사례도 있었다.
일부 논문의 표절률도 매우 높았다. '공동주택 야간경관조명 감성평가' 논문은 제자 A씨의 석사논문과 52%가 유사했고, '문양 조형요소 영향 평가' 논문은 B씨의 박사논문과 56%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단은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진숙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