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당진=김갑수 기자] 당진사회개혁비상행동(비상행동)이 최근 발생한 전통시장 등 침수 문제를 지적하며 호수공원 사업에 대한 사실상의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참여연대, YMCA, 참교육학부모회, 여성유권자연맹 등 6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비상행동은 22일 오전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당진지역 침수 피해는 대부분 사전 예방 대책의 소홀함과 근본적인 대책 수립의 미흡함에 있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역대 시장들은 역천과 당진천에 엄청난 예산을 지출했지만 하천의 본래 기능인 물이 흐르는 길이라는 것을 망각하고 시민들에게 편리하고 유익한 점만 생각해 하천의 물흐름을 방해하는 공사로 침수 피해는 그대로”라며 시는 최근 10년간 침수지역을 점검하고 그 원인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당진사회개혁비상행동 기자회견…"호수공원보다 침수대책 우선"
비상행동은 특히 “특정 지역의 정주환경보다는 시민의 생명과 재산이 우선”이라며 “시가 추진하는 인공호수공원 조성사업은 즉각 중단되어야 하며, (관련) 예산도 침수 대책 사업비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상행동 관계자는 “충청도 내포지방에 200년 만에 내린 큰 비로 인해 많은 분들, 특히 전통시장 상인들이 눈물짓고 있다”며 “호수공원을 조성할 경우 오히려 피해를 더 키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호수공원이 그렇게 시급한 것인가?”라며 “정부 예산은 얼마인지, 시는 얼마를 투입할 것인지 투명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기업에 삥뜯는 게 보인다. 그래서 반대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시는 이번 침수 피해와 호수공원은 전혀 별개의 것이라는 입장이다. 아울러 ‘당진배수분구(읍내동) 도시침수예방사업’을 적극 추진 중으로, 행정절차를 거치느라 시일이 걸릴 뿐 손 놓고 있는 건 절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시는 지난 2023년 환경부로부터 ‘하수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받아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비는 국비 204억 원을 포함 총 341억 원이다.
그러나 지난해와 올해 시간당 100mm 내외의 집중호우가 발생하면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시, 341억 규모 '당진배수분구(읍내동) 도시침수예방사업' 추진 중
이에 시는 빗물펌프장을 2026년 6월까지 조기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 기간 단축을 위한 조치 등을 환경부에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수도과 관계자는 <굿모닝충청>과 통화에서 “2025년도 국비를 신청했는데 너무 늦어질 것 같아 지난해 추경을 통해 시비만 20억 원을 확보, 설계를 먼저 시작했다. 올해도 국비가 들어와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며 “이번에 피해가 또 발생한 만큼 빗물펌프장을 우선 신설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오성환 시장은 지난 2일 민선8기 출범 3주년 기자회견에서 호수공원에 대한 비상행동의 반대와 관련 “시민들에게 당진의 미래를 제공하자는데 그걸 하지 마라? 그러면 진작에 얘기했어야 한다”며 “취임해서 용역비 세웠고 주민설명회와 3개 예정지 발표에 이어 투표까지 했다. 거의 80%가 찬성했다. 지금 와서 하지 말자? 무슨 의도가 있는 것 아닌가?”라고 역공을 폈다.
한편 시는 대덕동 1309번지 일원 15만3449㎡ 부지에 총사업비 841억 원을 들여 오는 2027년 12월까지 호수공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