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지난 8일 발생한 국민권익위원회 김 모 부패방지국장 사망사건의 여파가 좀처럼 그치지 않고 있다. 고인이 김건희 여사 명품 가방 사건 처리 문제로 극심한 압박감을 느꼈다는 주변 인물들의 증언이 잇달아 나왔다. 이에 동아일보 또한 9일 밤 사설을 통해 윤석열 정부와 권익위를 향해 강한 비판에 나섰다.
동아일보는 <“힘들다”… 심상찮은 불씨 남긴 권익위 간부의 안타까운 죽음>이란 제목의 사설을 통해 "고인의 죽음에 대해 권익위 내부에서는 ‘언론이나 국회의 주목을 받는 민감한 사건을 처리하면서 힘들어했다’는 증언이 나왔다"고 언급하며 "특히 올해 6월 권익위가 ‘청탁금지법 위반 사항 없음’으로 종결 처리한 명품백 사건에 대해 고인은 ‘사건을 종결하지 말고 수사 기관에 보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해 왔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당시 권익위는 김 여사에 대해서는 ‘공직자 배우자에 대한 제재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대통령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직무와 관련성이 없어 신고 의무가 없다’는 이유로 사건을 종결 처리했다. 이 때문에 '건희권익위원회'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는데 동아일보 역시 고인이 이 때문에 극단적 선택을 했을 것이라 비판한 셈이다.
또 동아일보는 "권익위는 대통령 부부에게 면죄부를 주는 명품백 사건 조사 결과를 발표한 후 거센 비난에 직면해 왔다. 관련 신고 접수 후 6개월을 끌다 법 위반 사항이 없다는 결과를 내놓았는데 그 근거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고 지적하며 "‘맹탕 조사’ 논란이 커지자 추가 해명을 내놓았지만 그것도 맹탕이었고, ‘여사권익위’라는 성토가 쏟아졌다"고 해 수구 언론답지 않게 강한 비판을 했다.
동아일보는 이번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사건에 대해 "지난해 11월 유튜브 방송을 통해 알려진 명품백 수수 사건은 조기에 대응하지 않고 뭉개는 바람에 국민 여론이 악화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즉, 처음부터 떳떳하게 해명하지 않고 갖가지 핑계를 대며 뭉개는 바람에 여론이 더욱 악화됐다는 지적이다.
또 검찰을 향해서도 "검찰은 권익위 조사와는 무관하게 증거와 법리대로 차질 없이 수사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검찰총장 모르게 김 여사를 검찰청 밖 제3의 장소에서 대면 조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어떤 수사 결과를 내놓아도 믿기 어려운 지경이 됐다"며 스스로 불신을 자초했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권익위 부패방지국장의 극단적 선택이 있었는데 이를 두고 동아일보는 "그 파장이 어디에 이를지 가늠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대통령 부부와 사건 관계자들은 이 사건의 여파를 대체 어떻게 감당하려 하는가"라며 굉장히 직선적인 어조로 윤석열 대통령과 대통령실을 겨냥해 날카롭게 비판했다.
즉, 이번 사설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김건희 여사 하나 감싸려다가 여러 사람이 죽어 나가고 있으니 빨리 김건희 여사를 버려라. 그래야 산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아직도 윤석열 대통령은 조중동의 경고 메시지를 읽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기에 그들 입장에서도 애가 많이 달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에서는 청문회 추진을 통해 국회 차원의 진상규명에 나설 것이라고 선언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