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충청북도와 청주시의 소극행정으로 지역 공공의료 기관이 소멸 위기에 처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이광희 의원(청주 서원)은 지난 17일 충북도를 상대로 하는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현재 충북 도민의 관내 응급실 이용률은 39.6%로 10중 6명은 관외 응급실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의원은 "응급실을 찾지 못해 관외로 넘어가거나 차량에서 출산을 하는 등 심각한 수준"이라고 개탄했다.
충북 첫 종합병원이자 44년 역사를 자랑하는 청주병원은 이전 부지 문제로 의료법인 취소 결정까지 내려졌다. 임차 형식의 부지로는 의료법인 허가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 도의 입장이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감염병 전담병원을 맡았던 청주·충주의료원은 경영 악화로 적자로 돌아섰다. 청주·충주의료원에 대한 도의 지원은 추후 상환을 전제한 융자 지원에 그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행정기관이 지역 병원을 유치해도 모자랄 판에 있던 병원 소멸을 방치했다"며 "행정기관이 충북의 의료 위기를 오히려 앞당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공공보건의료법과 지방의료원법 등 법적 근거는 충분하다"며 "충청북도와 청주시가 소극적 행정 때문에 청주병원이 사실상 폐원 상태를 목전에 두고 있다"고 질타했다.
충북대병원 또한 의정갈등 등으로 의료진이 이탈하면서 응급실 진료가 일부 중단된 상태로 운영 중이다.
이 의원은 이날 증인으로 참석한 고창섭 충북대 총장에게 "당장 내년에 지금의 확대된 정원만큼 교육환경이 잘 따라 줄 수 있는지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며 대학측의 협조를 당부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