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노준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에 분노한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탄핵 촉구 집회를 여는 가운데 대학가에도 윤 대통령 탄핵 촉구 시국선언이 확산하고 있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총장 이광형) 학부 총학생회(회장 윤서진)는 7일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지난 2월 16일 KAIST 학위수여식에서 대통령 경호처 요원들은 인쇄물을 들고 구호를 외친 졸업생의 입을 틀어막고 팔다리를 붙잡아 퇴장시켜 국가 권력으로 표현의 자유를 짓밟았다”며 일명 ‘입틀막 사건’을 먼저 거론했다.
이어 “이때 심어진 권력 남용의 씨앗은 민주시민의 기본권을 억압하는 계엄으로 자라났다”며 “우리가 경험했던 국가 권력의 폭력은 불과 10개월 만에 전 국민을 상대로 되풀이되었다”고 개탄했다.
또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령 선포로 민주주의를 무너뜨리고자 했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고 헌법기관인 국회의 무력화를 기도한 이번 계엄은 헌법과 삼권분립에 대한 전면적 도전”이라며 “국민에게 위임받은 권력으로 국민의 자유를 침해하려 한 반헌법적인 시도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은 독재 권력의 악몽을 되살리며 과학 발전의 길을 좁히고 있다. 과학도로서 우리는 더 이상 도래하는 어둠을 묵과할 수 없다”며 “보편적 진리를 추구하는 과학도들의 민주주의를 향한 외침을 모아 자유로운 과학기술의 배움터를 지켜내자”고 외쳤다.
계속해서 “다시금 우리는 헌법적 가치가 훼손된 작금의 상황에 통탄을 금치 못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퇴진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총학생회는 지난 5일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반헌법적 폭거를 규탄한다"는 성명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들은 다음 날인 6일 오전 학부·학과 학생 대표자회의(중앙운영위원회)에서 정책투표 실시를 의결했다. 같은 날 오전 9시부터 자정까지는 학부생 전체를 대상으로 시국선언문 발표에 대한 정책투표를 실시했다.
이 결과 학부·학과생 중 28.3%인 1370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원 부회장은 “이는 정책투표 의결정족수인 12.5%의 2배를 넘는 수치"라며 "개표 결과 찬성 1290명, 반대 40명, 기권 28명으로 94.2%의 찬성률로 가결됐다”고 전했다.
한편, 이들은 전국 대학생들의 공동행동도 예고했다. 윤서진 회장은 “탄핵 표결이 불성립됨에 따라 지난 7일 밤 전국 20여 개 대학교 총학생회 대표들이 모여 회의했다”며 “‘비상계엄 대응을 위한 전국 총학생회 공동행동’을 발족해서 다음 주에 공동성명문을 발표하고 집회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