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악성임대인(전세보증 집중관리 다주택채무자) 중 100채 이상의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를 낸 경우가 전체 사고금액의 절반 가까이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더불어민주당 복기왕 국회(국회 국토교통위원, 충남 아산갑)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제출받은 ‘전세보증 집중관리 다주택채무자 현황’ 자료를 분석해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1월말 기준 사고주택 100채 이상 악성임대인 41명의 채무액은 1조 4325억 원으로 악성임대인 전체 채무액(3조 891억원)의 46.4%를 차지했다.
보증사고 건수로 분류하면 악성임대인의 전체 사고건수 1만 9968건 중 사고 100채 이상 악성임대인의 사고가 45.4%(9,060건)에 달했다. 반면 사고 100채 이상 악성임대인 41명은 악성임대인 전체 인원(994명) 대비 4.1%에 불과했다.

200채 이상의 사고를 낸 임대인도 14명이나 됐다. 임대인 1인이 가장 많은 사고를 낸 주택수는 무려 757채(1,241억원)였고, 두 번째로 많은 경우는 611채(1,048억원)였다.
작년 12월 국토부가 국회에 보고한 ‘전세사기 피해 실태조사 결과 및 피해자 지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동시진행 무자본 갭투기 방식에 따른 피해가 1만 1086건으로 전세사기 전체 피해자(2만 4,668건) 중 48%를 차지했다. 이는 피해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이다.
복 의원은 “자본 또는 소자본으로 짧은 기간에 동시다발적으로 임대차 계약을 맺는 임대인을 사전에 공개하거나, 일부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사회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집값과 전셋값이 동시에 하락하는 최근 시기에 더 많은 전세사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전세사기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수백 채를 무자본으로 임대하는 경우에는 특별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