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R&D(연구개발) 예산 회복을 외친 졸업생이 끌려나간 이른바 '입틀막' 사건이 일어난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에서 극우집회가 열리며 공분이 일고 있다.
특히 국내 최고 이공계 대학인 카이스트 구성원들이 부정선거 음모론과 계엄 정당성을 주장하며 이를 계몽령이라고 칭하는 등 윤 대통령의 12.3 내란 행위에 찬동하는 발언을 하며 충격을 주고 있다.
12일 한국과핚기술원 앞에서 자유민주주의 체제 수호를 위한 KAIST 비상시국선언이 열렸다. 이날 자리에는 친윤 극우 인사로 이름이 알려진 김소연 변호사(법무법인 황앤씨 대표변호사)도 함께 했다.
주최측은 자신들이 학교 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효한 카이스트 이메일을 보유한 501명을 대상으로 윤 대통령 찬·반을 물은 결과 이날 오후 12시 45분 기준 응답자 305명 중에 251명(82%)이 반대, 54명(18%)이 찬성 의사를 표했다며 시국선언의 정당성을 어필했다.
이들은 ▲부정선거 음모론에 대한 검증 요구 ▲민주당의 간첩법 개정 반대와 친중 원전 정책 등을 제시하며 윤 대통령을 옹호, “12.3 비상계엄은 계몽령”이라는 극우 인사들의 주장을 그대로 인용하며 발언을 이어나갔다.
경찰 추산 150명이 참석한 이번 집회의 참석자들은 주로 카이스트 구성원들이 아닌 일반인으로 보이는 40~70대들이었는데, 이들은 ▲중국 좌파 CCP 중국공산당 OUT ▲모든 중국인은 잠재적 간첩 ▲편파보도 OUT ▲종북 좌파 OUT 등 극우 인사들이 갈라치기와 혐오 정서를 유발하기 위해 선전하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었다.

이러한 집회 소식이 전해지자 카이스트 구성원들과 지역 시민사회는 윤 대통령에 대한 헌재의 탄핵 심판을 앞두고 극우 집단들이 학생들을 동원, 지성의 성소인 대학가까지 여론전의 장으로 이용한다며 이를 규탄하고 나섰다.
특히 입틀막 사건의 피해 당사자인 신민기씨는 같은날 오전 같은 장소에서 열린 열린 ‘카이스트 탄핵 반대 시국선언 규탄 및 민주주의 수호 기자회견에 나와 “탄핵을 반대하는 세력은, 탄핵을 요구하는 우리의 정의로운 목소리와 동등하지 않다”며 “이는 빛과 어둠이나 마찬가지이다. 빛에는 다양한 색이 존재하지만, 어둠은 스스로를 정의할 수도 없고, 빛을 이길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이제 어둠을 밀어내고, 다시는 혐오나 폭력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게 둬서는 안된다”며 “정의는 결코 패배하지 않을 것이다. 윤석열을 시민의 손으로 파면시키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전지역 46개 시민·사회·종교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윤석열정권퇴진대전운동본부의 경우 이날 대전 서구 둔산동 은하수네거리에서 '내란수괴 윤석열 즉각 파면! 즉시 재구속! 촉구 대전지역 철야농성 선포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내란 세력의 선동에 맞서 14일까지 매일 밤 철야농성을 전행한다고 밝혔다.
김율현 윤석열정권퇴진대전운동본부 공동대표는 "12.3 내란 사건 이후 석 달째 계속되고 있는 사회적 갈등과 혼란 상황에서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 마저 석방돼 거짓 선동과 내란을 진두지휘하는 위험천만한 상황을 방치하면 안 된다"며 "내란 행위를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신속한 파면과 엄정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 헌법재판소는 하루빨리 선고 일정을 확정하고 파면 결정을 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