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의지를 거듭 피력하며 미래 비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성일종 의원(충남 서산·태안)과 문화일보는 25일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 '문화 정책포럼 2025'을 개최했다.
이 자리엔 양 시도 관계자와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등 다수 의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우동기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장과 전희경 충남연구원장도 자리를 함께했다.
권 원내대표는 축사에서 "대구경북 통합보다 대전충남 통합 추진 속도가 빠르다"며 "충청도가 느리다고 하지만 중요한 일은 가장 먼저 앞서간다"고 말해 좌중을 웃게 만들었다.
성 의원은 환영사에서 "수도권 집중화와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다양한 정책이 시도되고 있지만 가시적 성과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며 "광역권 행정통합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와 지방정부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말했다.

비전 설명회에서 먼저 마이크를 잡은 김 지사는 "행정통합을 통한 '대전충남특별시' 탄생은 수도권 일극체제 및 저출생, 고령화로 성장동력을 상실한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위한 응급수술"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존의 낡은 행정 체제로는 대한민국이 마주한 현실을 바꿀 수 없다"며 "수도권 집중을 극복하고, 대한민국이라는 운동장을 넓게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전과 충남의 통합을 통한 인구 360만, 지역내총생산(GRDP) 190조 원의 제2 경제거점을 형성해 서울, 수도권을 넘어 샌프란시스코, 오사카, 상하이 등 세계와 경쟁할 만큼의 체급으로 키워야 한다"고 했다.
충남도와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충남의 GRDP 규모는 부산광역시보다 큰 규모이며, 유럽 49개국 기준으로도 23위에 해당한다.
김 지사는 "지금까지 흉내만 냈던 지방자치제를 탈바꿈시켜야 한다"며 "양 시도의 통합은 대한민국의 명운이 달린 과제"라고 역설했다.

연이어 연단에 오른 이 시장은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이라는 현실 앞에서 대전과 충남 모두 더 이상 분절된 체계로는 생존과 도약을 기대하기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대전과 충남은 경제·과학·행정이 밀접하게 연결된 생활권으로 이미 하나의 도시"라며 "이를 제도적으로 통합하고, 행정·재정·산업의 연계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ABCD+QR(인공지능·바이오·탄소중립·국방+양자·로봇 등) 분야를 중심으로, 통합특별시가 국가 전략산업의 융복합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전충남특별시 내 트라이앵글식 3대축(대전권, 북부권, 서부권) 발전 전략을 마련하고, 중심도시를 중심으로 인근 시·군을 광역 생활·경제권으로 구축하겠다"고 했다.
끝으로 "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꾸는 국가 전략이며, 지역이 다시 중심이 되는 새로운 시대의 출발점"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