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내포=김갑수 기자] 대전충남행정통합민관협의체 정재근 공동위원장(충남)은 23일 “우리 경험을 보면 행정통합을 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자치단체장의 합의다. 그 필요성을 인지하면서도 자신의 기득권을 내려놓고 합의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며 “제 경험치로 봐선 그것이 되면 50% 이상의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 차관 출신으로, 과거 충북 청주-청원 행정통합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정 위원장은 이날 오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이창기 공동위원장(대전) 등과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청주-청원의 경우 주민투표까지 다 됐다고 생각했는데 안 되는 경우도 있었다. 주민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다만) 이것은 기초단체 통합이 아니다. 기초단체의 법적 지위는 그대로 유지되고 대전시와 충남도만 없어지는 대신 대전충남특별자치시가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시장·군수·구청장 선거구가 바뀌는 게 없다”고도 했다.
정 위원장은 이어 “규모의 경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별법을 통해 도시계획 특례나 해양 관련 특례, 개발 특례, 교부세와 양여금 등 모든 특례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목적은 결국 경제권 통합이다. 큰 리더십을 만들어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하나의 개발 경제권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위원장은 특히 “권한을 이양받으려면 모델이 있어야 한다. (적어도) 서울시가 가진 특별한 지위 정도는 넣어야 한다”며 “국가 시스템을 선도적으로 바꾸는 것인 만큼 서울시에 준하는 정도의 재정이나 여러 가지 특례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계속해서 정 위원장은 2026년 7월 통합 지방자치단체 출범이 다소 촉박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물론 충분한 시간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 이 시기에 하지 않으면 또 언제 하겠나?“며 ”사실 1년이면 불가능한 시간은 아니다. 양 시·도지사가 의기투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절차를 잘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 다른 정치 일정이 나오더라도 대전·충남 통합 이슈가 그 쪽의 아젠다로 들어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이은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대선공약에 반영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