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갑수 기자] 충남지역 시장·군수들의 도로와 철도 등 SOC 건설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해당 사업 모두 국가계획 반영이 절실한데, 이재명 정부에서는 반드시 관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초당적인 협력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먼저 김동일 보령시장은 지난 10일 관창산업단지 내 탄소중립 모빌리티센터에서 민선8기 3주년 언론인 간담회를 갖고, 지역 최대 현안인 보령~대전고속도로와 관련 “엊그제 확인한 결과 B/C가 0.8이 나왔다고 한다”며 “정책판단지수까지 넣으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시장이 언급한 B/C 0.8은 충남도가 자체적으로 진행한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에 담긴 내용인 것으로 확인됐다.
보령~대전고속도로는 총연장 71km로, 사업비는 2조2062억 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대전 제2순환고속도로를 통해 충북 보은까지 연결할 경우 총연장 197km에 사업비는 7조4181억 원으로 늘어난다.
이 사업은 대전·세종·충북 등 바다가 없는 시·도민들을 위해 아름다운 서해를 선물하기 위한 사업이자, 충청권 메가시티 건설을 뒷받침하는 대동맥이 될 거란 점에서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충남도와 보령시는 해당 사업의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반영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에 앞서 이완섭 서산시장은 지난 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가진 ‘언론인과의 대화’에서 ▲내포~태안철도 ▲충청내륙철도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대산항 인입철도 등 시와 관련된 주요 철도 사업을 언급한 뒤 “(여러분들이) 힘을 모아주셔야 한다”며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시장은 특히 2028년 개항 예정인 서산공항과 관련 “국제공항은 숙명적”이라며 “계속 노력해서 국제공항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중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는 서산(대산)에서 당진~예산~아산~천안을 거쳐 경북 울진까지 총 330km를 연결하는 것으로, 사업비는 약 7조 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그동안 문재인-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됐으나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않아왔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해당 사업을 대선공약으로 채택한 바 있다.
가세로 태안군수는 군민 50년 숙원인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설을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다.
가 군수는 지난 8일 군청 중회의실에서 언론인과의 대화를 갖고 “태안의 가장 어려운 부분이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가로림만 해상교량은 물론 고속도로와 철도도 필요하다”며 “태안의 명운을 좌우하는 국도 사업부터 빨리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토교통부가 최근 국지도96호와 지방도603호선의 국도38호 승격을 확정하면서 가로림만 해상교량 건립에 보다 힘이 실리고 있다.
국도38호선은 태안군에서 동해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362.4km의 국가 간선도로이나, 전 구간 중 유일하게 이원-대산 구간이 바다로 막혀 단절돼 아쉬움이 있어왔다.

계속해서 박범인 금산군수는 지난 9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8회 충남지방정부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가칭 중부 동서고속도로의 국가계획 반영 필요성을 역설했다.
금산의 경우 남북축과는 달리 동서축 고속도로가 없어 기업 유치에 한계가 있는 만큼 서해안에서 논산~금산을 지나 동해안까지 연결되는 고속도로를 건설함으로써 충청권이 대한민국 신성장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충남지역 시장·군수들이 앞다퉈 도로와 철도 등 SOC 건설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과 함께 새로운 성장 동력 마련을 위한 전략 차원으로 풀이된다.
특히 보령시와 태안군의 경우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폐지)와 맞물려 인구 유출 등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도 간과해선 안 될 대목이다.
무엇보다 해당 사업들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부계획 반영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충남도를 비롯해 지역 정치권의 초당적인 협력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