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를 전후해 불거진 SNS 상의 메시지 논쟁이 당내 지지층 일부의 반발로 이어지고 있다. 발단은 최민희 국회의원(경기 남양주시갑)의 문제의식에서 시작됐고, 정청래 국회의원(서울 마포구을)이 그 철학에 공감의 뜻을 밝히며 논란을 정리하는 듯했지만, 김용민 국회의원(경기 남양주시병)의 유사한 글이 다시금 해석의 충돌을 일으켰다는 것이 주요 흐름이다.
정청래 의원은 전당대회 당일 SNS를 통해 “역사는 직진하지 않지만 결코 후퇴하지 않는다”며 최민희 의원에게 감사를 표했다. 그는 “엘리트주의는 민주주의의 적”이라며 “당원들의 권리와 의사결정권이 확장되는 흐름은 거스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최민희 의원이 페이스북에 올린 장문의 글에서 정청래 의원을 “당의 기존 엘리트질서에 속하지 않은 자체발광형 정치인”으로 평가한 것에 대해 정 의원이 직접 연대의 뜻을 밝힌 것이다.
그러나 논란은 김용민 국회의원이 같은 날 공개한 짧은 한 문장으로 다시 촉발됐다. 김 의원은 SNS를 통해 “과거 학생운동 하던 시각만으로는 정치를 할 수 없습니다. 공동체에 기여한다는 가치는 지키되, 변화된 세상과 질서에 대한 수용성을 넓히는 것이 정치의 덕목이 되어야 합니다”라고 썼다.
이 글은 직접적인 실명 언급이 없었음에도, 정청래 의원의 정치적 정체성과 부합되는 표현들로 인해 지지층의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정 의원은 오랫동안 ‘운동권 출신’, ‘전투형 정치인’, ‘당원주권론자’로 평가받아왔고, 이번 전당대회에서도 그런 노선을 앞세워 당심의 지지를 얻은 인물이기 때문이다.

일부 지지자들은 “(정청래 후보가 이미 민주주의의 본질을 말하며 갈등을 봉합한 상황에서) 같은 프레임을 반복하는 건 의도적 견제”라며 반발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 의원의 글이 “보편적 정치 원칙을 강조한 것”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그러나 문제는 전당대회 당일이라는 시점, 그리고 직전까지 최민희-정청래의 ‘철학적 연대’가 형성되던 흐름 속에서 동일한 문장이 반복됐다는 사실이다.
정치 커뮤니케이션 구조상, 이는 ‘익명화된 특정 비판’으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최민희 의원의 글은 오히려 정청래 의원의 비주류적 성장 서사를 복권시키고 지지층 악마화를 우려한 내용이었지만, 김용민 의원의 글은 그런 맥락 없이 단문 메시지만 던지면서 오해를 부른 것 같다”며 “발언의 위치와 시점이 정치적 해석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세심한 메시지 설계가 필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청래 의원은 전날 올린 글에서 “민주주의란 소수에서 다수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이라며 “정보가 실시간 쌍방향으로 흐르는 시대에, 더불어민주당도 당원 주권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민희 의원도 “정청래 서사가 시작되고 있다”며, 이번 대표 경선을 통해 “진심으로 통하는 지도자”로 발돋움하고 있음을 평가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