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일본 '사도광산'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상황에서, '제2 사도광산'으로 거론되는 '아시오 광산'과 '다테야마-구로베 댐'도 '조선인 강제노동'을 뺀 채로 등재를 시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국회 문화체육관광위, 충남 공주·부여·청양)이 24일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입수한 '일제강점기 강제노역 시설 유네스코 등재 추진 현황'에서 이같이 드러났다.
자료에 따르면 일본은 세계유산 등재 제안서에 '조선인 강제노역'에 대한 언급 없이 지난 2008년부터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서에는 '아시오 광산'이 산업화와 공해 대책이 사회문제화된 중요한 사례라는 점을, '구로베 댐'은 재해방재 시설과 거대한 수자원 발전시설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하지만 일본 후생성 조사에서는 '아시오 광산'은 조선인 2416명이 강제동원 됐고 이 중 40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로베 댐'에서는 1000명 이상의 조선인 노동자가 강제 동원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세계유산 예비 잠정일람표 후보자산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세계유산 등재 순으로 3단계로 진행된다.
두 곳은 현재 1단계인 '후보자산'에 등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가유산청은 16년 동안 무대응으로 일관하다가 지난 10일 국정감사에서 박 의원의 지적이 나온 후에야 내년 1월부터 연구용역에 들어가겠다며 '늑장 대응'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국가유산청은 박 의원의 추궁에 "내용을 알기 어렵다", "일본의 유네스코 등재 시도가 있으면 대응하겠다", "일본 문화청 홈페이지를 참조하라"는 황당한 서면답변을 내놓기도 했다.
박 의원은 "전 국민적인 공분 있었던 '사도광산' 사례가 있었는데, 일본이 최종 3단계인 유네스코 등재 신청을 하고 나서야 대응할 일인가?" 라고 따져 물었다.
이어 "일제강점기 강제노역 근대 산업 유산들에 대한 실태조사 등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한 '연구 축적'이 시급하다"며 "범정부 차원의 대응 전담부서 신설과 TF팀 구성 등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