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대구광역시가 박정희 기념 사업을 추진하며 기존의 광장과 공원에 박정희의 이름을 붙이고 동상을 세우겠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대구시는 이 박정희 우상화 사업에 14억 5,000만 원의 예산을 편성한 상태다. 독재자 박정희를 우상숭배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달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광주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 업적 흔적이 곳곳에 있었는데 대구는 없어 유감”이라며 박정희 기념사업 추진을 공식화했다. 그리고 한 달 정도 지나서 대구시는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를 시의회에 제출했다.
박정희 기념사업 추진 목적은 “박정희 산업화 정신과 2·28 자유정신을 살리는 사업을 추진해 대구시민의 자긍심을 고취하겠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 14억 5,000만 원의 예산을 편성하고 동대구역 광장과 대표도서관 공원에 박정희의 이름을 달고 동상도 세우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런 홍준표 시장의 결정에 작년 박정희 동상건립 추진위를 발족한 찬성 시민단체들은 당연히 큰 환영의 뜻을 보였다. 김형기 박정희대통령 동상 건립추진위 단장은 “대구시가 단독으로 하겠다고 해서 저희들은 (대구) 대신에 지금 경상북도의 동상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고 환영의 뜻을 표했다.
반면 반대 측 시민단체들은 박 전 대통령과 대구는 지역적 연관이 크게 없고 이미 바로 옆 구미시에 기념관이 있어 예산 낭비 가능성이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실제 박정희의 출생지는 경상북도 선산군(현 구미시)으로 대구에서 잠시 학창시절을 보낸 것을 제외하면 큰 연관은 없다.
또한 반대 측 시민단체들은 조례 제출 전 입법예고 기간에 880여 건을 반대 의견을 접수했는데, 대구시가 이를 반영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임성종 박정희 우상화 사업 반대 시민운동본부 집행위원장은 MBC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발의한 내 법이니까 시의회는 무조건 따라줘‥너희들은 거수기야. 이러한 독단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고요”라고 반발했다.
한편, 대구시는 입법예고기간에 '동상건립' 찬성의견이 얼마나 접수됐는지 밝히길 거부했다. 박정희 기념사업 관련 조례와 예산안은 오는 22일부터 열리는 대구시의회 임시회에서 다뤄질 예정인데 뜬금없는 박정희 우상화 사업이기에 논란이 예상된다.
이미 박정희 우상화 사업으로 인해 크게 논란이 된 곳이 바로 경상북도 구미시다. 남유진 전 구미시장은 박정희를 가리켜 ‘반인반신’이라고 추켜세우기도 했으며 박정희 우상화 사업에 지나치게 많은 예산을 책정해 논란이 됐다. 남 전 시장 재임 시절 당시 구미시 1년 예산은 1조 가량 되는데 매년 수백억을 박정희 관련해서 낭비했고 임기 말에는 1,400억 원짜리 박정희 타운까지 계획하고 있었다.
이렇게 박정희 우상화 사업에 지나치게 많은 예산을 책정한 덕에 공공장소에 있어야 할 휴지조차 지급하지 못했다. 한 롤에 500원이면 충분히 매입 가능한 휴지조차도 ‘예산이 없어서’ 못 사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남유진 전 시장의 이런 막장 행정 때문에 결국 7회 지선에서 보수 표 분산에 힘입어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후보가 구미시장에 당선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런데 대구시가 또 다시 이런 구미시의 전철을 답습하겠다고 나섰기에 논란이 될 수밖에 없다. 이미 박정희 신화를 기억하는 세대는 서서히 수명의 한계로 인해 사라지고 있고 50대 이하 세대들은 대체로 포스트 박정희 세대라는 점을 볼 때 더더욱 공감을 얻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