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최영규 기자] 성심당 대전역점의 고액 월세 문제와 관련해 문화체육관광부와 대전시의 지원 태도가 달라 논란이 일고 있다.
성심당은 개인 빵집을 넘어 대전을 상징하며 지역관광과 경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데 정작 코레일과의 문제해결에 나서고 있는 것은 대전시가 아닌 문체부이기 때문이다.
앞서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지난 17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국가유산청 출범식에 참석하기 전 성심당 대전역점을 방문해 임영진 대표와 코레일유통과의 고액 입찰 수수료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문체부의 지역문화매력 100선(로컬100)에 선정된 성심당의 애로사항을 듣기 위해 갑자기 방문한 것이다.
이 자리에서 유 장관은 ”각 지역의 노포들이 문화관광지 역할을 하고 있는데 성심당도 그런 곳 중 하나“라며 ”문체부가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답했다.
현재 이 문제는 문화예술정책실 지역문화정책과에서 맡아 지원방안을 찾고 있다.
문체부 관계자는 ”코레일로부터 기초자료를 받았고 어떤 방향으로 문제를 풀지 협의 중에 있다“고 말했다.
반면 대전시는 향토기업인 성심당에 대한 어떤 지원도 검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평소 지역의 이익과 경제 발전을 우선시한 이장우 시장의 태도와도 비교되는 대목이다.
성심당은 현재 6개 매장을 운영으로 하루 방문객 1만7000여명에 달하는 전국 유명 빵집으로 성장했지만 타 지역에 매장을 내지 않고 있다.
대전에서만 성심당 빵을 살 수 있기 때문에 대전관광 필수코스로 자리잡았다.
이 시장 또한 지난해 10월 ‘대전 빵축제’ 인사말에서 "성심당이라는 위대한 빵집이 전국의 어느 지역에도 대리점을 절대 내지 않는 것은 성심당 빵을 먹으려면 대전으로 와야 한다는 뜻으로 이게 자존심 아니겠냐"며 "앞으로 대전을 대한민국 최고의 빵 성지로 확고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아직 성심당으로부터 어떤 도움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없었다“며 ”요청을 해오면 어떤 지원을 할 수 있는지 알아 보겠다“고 답했다.
성심당은 대전역점에 대해 코레일유통에서 실시하는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최소 월 매출의 17%를 수수료로 받아야 한다는 코레일 내부규정 때문에 다시 낙찰받으려면 현재 월세 1억원의 4배를 내야한다. 4번의 유찰로 인해 수수료는 3억 원 선으로 떨어졌다.
임영진 대표는 ”입찰에 참여하지만 1년에 임대료로 40~50억 원을 감당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10월까지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다각적으로 생각하면서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