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내포=김갑수 기자] 충남도가 김돈곤 청양군수의 지천댐 건설 반대 입장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다. 청양군의 우려와 걱정은 이해하지만 지역의 미래를 보고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기영 행정부지사는 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늘 청양군수가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환경부에 요구한 사항에 대한 답변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발표한 것에 대해 도 차원에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물이 자원인 시대에 댐 건설은 충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며 “지천은 풍부한 유량과 넓은 유역면적으로 우리 도의 유일한 댐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김 부지사에 따르면 자체 분석 결과 2031년부터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하고, 2035년이면 약 18만톤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측됐다는 것.
김 부지사는 “우리 도의 용수공급 주요 원천은 대청댐과 보령댐이며 이미 95%를 사용해 극한 가뭄 발생 시 정상적인 용수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또한 청양과 부여지역은 2022년~2024년 3개년에 걸쳐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피해가 반복적으로 바생하는 등 많은 주민들이 생계에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이제는 더 이상 댐 건설을 미룰 수 없는 시점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김 부지사는 또 “댐 건설은 통상 10년 이상의 장기간이 소요되는 사업으로, 자치단체와 지역 주민이 함께 고민하고 협력하지 않으면 추진이 어렵다”며 “청양군이 요청하고 우려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도에서 환경부 등 범정부 차원의 협의체 구성 및 구체적인 지원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적극적으로 관철시켜나가겠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김 부지사는 “정부 정책 이외에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도 차원의 종합 지원 대책도 별도로 만들어 추진하겠다”며 “청양은 인구 3만이 붕괴되는 등 지역소멸 위기를 겪고 있으며 앞으로 그 위기는 더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 지천댐이 지역의 확실한 원동력이자 기반으로 활용되도록 책임지고 아낌없이 지원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