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김종혁 기자] 충북도내 어린이와 노인 등 교통취약계층은 전체 인구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연령별 맟춤형 교통안전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충북도가 최근 발표한 ‘2025년 도민안전 종합대책’ 6대 분야 중에서 교통분야 안전 정책이 우선 순위로 소개됐다.
도내 인구 164만7478명중 교통취약계층인 어린이는 15만4746명(9.4%), 65세이상 노인은 34만9187명(21.2%)으로 전체의 30.6%를 차지한다.
도는 어린이와 노인층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먼저 연령별 맞춤형 교통안전 교육을 실시한다. 13세이하 어린이 2만5000명, 청소년 1만4000명, 65세이상 어르신 1만3000명이 대상이다.
이어 고령운전자 운전면허 자진반납도 계속 추진한다. 올해 국비와 시군비를 포함해 모두 3억3922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자진 반납을 유도할 계획이다. 지난해 2658명이 반납했고 올해 목표는 2285명이다.
어린이 보호구역에 대한 개선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된다. 38억 여원을 들여 도내 369개소에 대해 교통안전 시설물과 CCTV를 설치한다.
특히 지난해 도내 교통사고 사망자 146명 중 보행자 사망자가 34명으로 23.3%에 달해 이에 대한 대책도 마련됐다.
도는 노는 10월 무심천체육공원일대에서 ‘보행자 교통안전 걷기대회’를 추진할 예정이다. 18개 교통안전 유관기관 및 단체가 참여해 교통안전 결의대회와 합동 캠페인을 벌일 계획이다.
아울러 주요 사거리에 테마별 교통사고 예방 가두 캠페인도 추진한다. 충북도를 비롯해 교통연수원, 청주시, 자치경찰위원회, 청주권 경찰서, 도로교통공단, 면허시험장, 산업안전보건공단, 운송사업자 등 다수의 단체가 참여한다.
또한 안전한 보행환경을 위해 34개소에 21억여 원을 투입해 횡단보도 신설, 투광기 설치, 보차도분리시설, 보행우선구역 시범사업 등을 추진한다.
다만 ‘시설개선과 캠페인’ 등 해마다 비슷한 종류의 사업을 추진하지만,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거나, 가장 안전한 어린이보호구역 확립 등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없는 점은 지적할만하다.
특히 고령운전자 운전면허증 반납은, 반납 이후의 교통 활용 문제 개선 등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마련돼야만 실효성이 있는 정책이다. 고령운전자가 어쩔 수 없이 운전하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스스로 반납하는 경우는 드물어 보인다.
또한 '옐로우존'과 같은 어린이 보호구역처럼 어르신 보호구역 운영을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청주 육거리전통시장은 차량통행은 물론이고 고령자 보행이 많은 곳이다. 현장에서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어르신들을 위해 교통도우미 운영도 필요해 보인다.
청주 영운동의 한 주민은 “거의 매일 육거리 시장에 걸어가는데, 차들이 복잡하게 엉켜있고, 횡단보도도 가리는 경우가 많아 불편할 때가 많다”며 “누가 안내해 주는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