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5일 북한이 오전 서북 도서 지역에 해안포를 발사하는 무력 도발을 자행했다. 합동참모본부는 5일 북한군이 이날 오전 9시경부터 11시경까지 2시간에 걸쳐 백령도 북방 장산곶 일대와 연평도 북방 등산곶 일대에서 200여발 이상의 사격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그런데 정작 이 시간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개최하기는커녕 김건희 특검법 거부권 행사를 했기에 역시 적잖은 비판을 받게될 것으로 보인다.
이 날 북한은 2022년 12월 6일 강원도 고성·금강 일대에서 실시한 이후 1년 1개월 만에 또 다시 해안포 사격 도발을 감행했다. 정부는 서해5도 주민들은 안전문제를 고려해 대피령을 내리고 우리 군도 즉각 이에 상응한 군사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맞대응 방침을 밝혔다.
합참은 현재 북한의 사격으로 인한 우리 국민과 군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북한이 쏜 포탄은 대부분 서해 북방한계선(NLL) 북쪽 완충구역 내에 떨어졌다고 전했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오후 긴급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이날 포병 사격에 대해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도발행위"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위기 고조 상황의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에 있음을 엄중 경고하며,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합참은 "우리 군은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관련 동향을 추적·감시하고 있으며, 북한의 도발에 상응하는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서해안 일대에서 포병 사격 훈련을 실시한 것은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 이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작년 11월 23일 9·19 합의 전면 무효화 선언 뒤 서해 접경지 일대에 있는 해안포 포문 개방 횟수 확대 등의 군사적 조치를 취했다.
이날 정오에 인천 옹진군 연평면에선 마을 방송을 통해 "오후 3시에 포격훈련이 예정돼 있으니 대피소로 대피해 달라"라고 마을 방송을 통해 서해 연평도 주민들에게 '대피령'을 내렸다. 한편 해병대 예하 연평부대와 백령부대는 북한의 이번 해상 사격에 대응한 사격 훈련을 실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데 문제는 이 북한의 포격 도발 사실에 대한 속보가 오후 1시에야 처음으로 떴다는 것이다. 이는 도발 개시로부터 4시간, 종료로부터 2시간이 지난 시점이었다. 때문에 서해5도가 아닌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로서는 북한의 포격 도발 사실을 알 수가 없다.
이는 국가 안보를 강조하다 못해 북한을 향해 강경 발언을 쏟아냈던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이 보인 태도와는 전혀 맞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 2일에도 국민의힘은 윤재옥 원내대표가 원내대책회의에서 북한의 무력 도발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고 동료 의원들도 맞장구를 치는 등 ‘북풍’ 군불때기에 돌입했다.
그러나 정작 대통령은 오전 내내 NSC는 개최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그 시간에 김건희 특검법 거부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는 국가 안보를 그렇게 강조하던 윤석열 대통령 본인의 그간 언행과도 불일치하는 부분이라 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다수 언론들은 북한의 포격 도발 사실만 보도할 뿐 그 당시 윤석열 대통령의 행보에 대한 지적은 없다시피 하다. 만일 문재인 정부에서도 이런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도 언론들이 과연 이런 반응을 보였을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