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김건희 여사 문제와 관련해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을 향해 손절을 주문했던 동아일보가 6일에도 김승련 논설위원 명의의 칼럼을 통해 '김건희 리스크' 해소를 주문하고 나섰다. 이번에는 아예 여당이 1, 2주 내에 김 여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만년 야당'이 될 각오를 해야할 것이란 경고까지 했다.
김승련 논설위원은 "디올백 영상과 몇몇 텔레그램 문자 내용이 공개된 이후 김건희 여사의 국정 개입을 믿게 됐다"고 지적하며 "어느 정부나 실수를 범한다. 그걸 바로잡아 본궤도로 돌아가는 건 진심과 실력의 영역이다. 궁지에 몰린 용산으로선 5년 임기 반환점을 눈앞에 둔 지금부터라도 좋은 국정을 체감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김건희 여사 처리 문제가 '분수령'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또 그간 대통령실의 행태로 볼 때 국회의 특검법 처리, 검찰의 도이치모터스 사건 기소 여부를 봐 가며 시나리오를 짤 것이지만 지난 2년 간 용산의 계산은 번번이 빗나갔으니 "치 테크닉 대신 대통령이 후보와 당선인 때 가졌던 초심으로 판단하기 바란다"고 충고했다.
그러기 위해선 김건희 여사가 3년 전 "당선되면 아내의 일에만 충실하겠다"고 한 약속에 대해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며 여기에 대한 답변은 친윤 그룹까지 요구하는 김 여사의 사과와 다짐, 실천과 검증에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 이유로 "김 여사가 앞으로 할 대국민 약속은 오차 없이 지켜져야 하기 때문이다"고 했다.
또 김대남 녹취록에서 김대남 씨가 윤 대통령을 두고 “말을 듣나. 혼자만 이야기하고. (주변 참모 중) 누가 이야기하느냐”고 발언한 것에 대해 김 논설위원은 "내부자의 입을 통해 국정 1인자가 이렇게 희화화된 적은 드물다"며 "말을 막는 대통령, 그렇다고 간언을 못 하는 정치세력이라면 국정의 기회를 다시 줄 수 없다. 이런 민심 이반은 당분간 보수정치는 대한민국의 미래 만들기에 나서지 말라는 뜻이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국민의힘을 향해서도 '중수청'(중도-수도층-청년) 정치를 지향할 것을 주문했다. 김 논설위원은 "올 4월 22대 총선 지역구는 수도권이 121곳, 영남이 65곳이었다. 2000년 16대 총선 땐 각각 100곳, 66곳이었다. 편차가 2 대 1로 더 좁혀진 게 2014년인데, 이후에 치러진 3번의 총선에서 국민의힘은 108∼122석을 맴돌았다"며 그 원인을 수도권에서의 참패로 꼽았다.
실제 20대 총선부터 22대 총선까지 새누리당-미래통합당-국민의힘이 수도권에서 얻은 의석 수를 계산해 보면 20대 총선에서 35석, 21대 총선에서 16석, 22대 총선에서 19석에 그쳤다. 22대 총선 당시 수도권 전체 의석 수가 122석인데 2연속으로 20석도 얻지 못하고 있어 %로 환산하면 15% 남짓한 정도밖에 안 된다.
김 논설위원은 "요즘 표현으로 중수청(중도-수도권-청소년) 정치를 지향하지 않을 땐 패배를 각오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영남정파 색채가 짙어가는 용산과 집권당은 대통령 부부 이슈를 중수청 마인드로 따져보고 있는가 묻게 된다"며 영남파 입김이 샌 현재의 국민의힘 태도를 비판했다.
끝으로 김 논설위원은 "선거가 멀었다지만, 유권자는 똑똑히 기억할 것이다. 앞으로 1, 2주 김 여사 처리는 10년 정치지형을 바꿀 수 있다. 자칫하면 만년 야당을 각오해야 한다"는 보수층 입장에서 섬뜩한 경고를 남겼다. 즉, '김건희 리스크'를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면 보수 정당은 정권 교체를 당하는 것은 물론 '만년 야당'으로까지 전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현재 동아일보 역시도 현재의 '김건희 리스크'에 대해 쥐고 있는 정보가 있으며 이것이 과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보다도 더 큰 파장을 낳을 우려가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동아일보의 애타는 호소를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이 제대로 들을 것인지는 미지수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