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동아일보가 연일 칼럼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향해 '김건희 리스크' 탈출을 주문하고 나섰다. 3일에 나온 이기홍 기자의 칼럼과 4일 밤에 나온 사설을 보면 만일 국민의힘이 '김건희 리스크' 탈출에 실패할 시 보수가 재집권에 실패할 것이란 취지의 경고가 담겨 있다. 이미 야당은 '김건희 특검법' 재발의를 천명한 상태인데 과연 윤 대통령과 여당이 동아일보의 애타는 호소를 들을 것인지 주목된다.
먼저 동아일보 이기홍 기자는 3일 자신의 칼럼 <‘김건희 수렁’, 사법심판대 서는 게 유일한 탈출구다>에서 김건희 여사의 사과를 놓고 여권 내에서 왈가왈부하는 것에 대해 "다 부질없다"고 일축했다. 그 이유에 대해선 "때를 놓쳤기 때문"이며 "사과로 문제를 풀 수 있는 단계를 한참 지나버렸다"고 했다.
이기홍 기자는 유일한 해법은 김건희 여사가 사법적 심판대에 서는 것이라며 "대선 때부터 3년 넘게 보수진영 전체를 욕보이고 있는 여사 문제 수렁에서 헤어나려면 김 여사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일반 국민 누구나에게 적용될 절차를 거쳐 공정하고 엄정한 사법적 처분을 받는 것 이외엔 그 어떤 출구도 없다"고 단언했다.
이기홍 기자는 명품백 수수 사건이 터진 직후인 작년 12월 초에 자신이 "김 여사가 국민에게 사죄하고 사가(私家)로 가 근신해야 하며, 윤석열 대통령이 배우자 문제의 재발을 막을 근본적 장치를 마련하지 않으면 여사 리스크가 돌이키기 힘든 지경까지 치달을 것이라고 지적"한 것을 언급하며 "만약 그런 민의에 순응했다면 최소한 명품백 문제는 일단락됐을 것이고, 그 후 10개월간 터져나온 온갖 새로운 논란들도 예방됐을 것"이라 했다.
그러면서 "부끄러운 일을 행했으니 사과는 당연히 해야 하지만 이젠 사과만으로는 안 된다"고 일축했다. 또한 명품백 수수 사건 외에도 전당대회 문자 공개, 대통령실 이전 공사 업체 선정 논란, 공천 개입 논란 등이 터지고 있는 것을 두고 "최근 논란이 커지고 있는 공천 개입, 그리고 끊임없이 소문이 도는 공공기관·공기업 인사 개입 논란은 정권에 심대한 타격을 안길 수 있는 소재들"이라고 경고했다.
이기홍 기자는 자신은 김 여사의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취지의 신조어인 V2에 대해 "이를 미확인 풍문을 근거로 한 과장된 용어로 치부해 왔다"고 했으나 "요 몇 달 필자는 김 여사가 실제로 공기관 인사에 관여하고 있다고 결론 내릴 수밖에 없는 사례들을 접했다. 전언으로 들은 것들까지 합치면 여사의 영향력 행사는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판단할 수 밖에 없는 정황이다"고 했다.
이 말은 곧 동아일보 역시 윤석열 정부를 뒤흔들고도 남을 김건희 여사 관련 약점을 잡고 있는 것이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기홍 기자는 "더 놀라운 대목은 과거 정권들에서 처럼 베갯밑 송사로 대통령을 통해 간접적으로 뜻을 관철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김 여사가 직접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며, 자신이 이런 영향력 행사를 할 권리가 있다고 여긴다는 전언"이라고 동아일보가 쥐고 있는 약점을 스포일러로 흘렸다.
이기홍 기자는 김건희 여사의 국정 개입 의혹에 대해 "하지만 스승이 아무리 훌륭하게 제자를 키웠어도 제자의 월급을 같이 쓰자고 할 수 없듯이, 김 여사는 국민에게서 실오라기만큼의 권력도 위임받은 적이 없다. 사인(私人)이 국정에 개입하면 그게 국정농단이고 그걸 막기 위해 시스템이 있는 건데, 시스템을 요식행위로 만들어버리는 행위가 용인된다면 이는 국민에 대한 배신이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김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해 "대통령의 공천 개입도 범죄(박근혜 공천 개입 징역 2년)인데, 하물며 배우자가 공천이나 인사에 손을 댄다면 초가삼간이 아니라 정권 전체, 보수진영을 태워 초토화시킬 수 있는 위험한 행위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재차 경고했다.
그러면서 "여권은 이런 눈사태가 본격화하기 전에 신속히 김 여사가 사법적 심판을 받게 해야 한다. 과거 전직 대통령들 수준에 버금가게 소환돼 밤샘 조사받고, 만약 조금이라도 실정법 위반 혐의가 있다면 영장실질심사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만일 지금 이대로 덮고 갈 경우 다음 대선에서 여당 후보들이 먼저 김 여사 문제를 걸고 넘어질 것이라 했다.
이기홍 기자는 "여권에 최악의 시나리오는 밀리고 밀리다 이탈표로 인해 특검법이 거부권을 넘어서는 상황이다"며 "그때 맞게 될 매는 지금보다 몇 배 혹독하고, 여권은 “우리는 대통령 부인이라도 잘못이 있으면 집어넣는다”는 생색도 못 낸 채 공멸 위기를 맞게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직 대통령 임기가 절반 넘게 남아 있다. 자기 팔을 도려내는 결단이 대통령과 여권 전체는 물론 김 여사를 위해서도 현명한 해법이다"고 했다.
동아일보는 또 김건희 특검법과 채 상병 특검법이 부결된 4일 밤에는 사설로 여당에서 나온 4표의 이탈표에 대해 지적했다. 국민의힘 내에서도 4표의 이탈표에 대해 "굉장히 위협적인 숫자"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민주당이 특검법을 수정 발의하고 여당에서 기권·무효표 2명에 더해 4명이 더 찬성 쪽으로 마음을 바꾸면 대통령의 거부권으로도 막을 수 없게 된다는 뜻이다. 요즘 여권 내부의 사정을 보면 현실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동아일보는 해당 사설에서 "여당 의원들로서는 이런 상황에서 특검법에 거듭 반대만 하는 것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윤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 간의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여권의 결속력도 약해졌다"고 지적하며 한동훈 대표가 특검법이 한 번 더 넘어오면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에 “미리 얘기하지 않겠다”며 여지를 남긴 것도 심상치 않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잦은 거부권 행사로 인한 민심 악화와 최근 불거진 윤·한 갈등으로 인해 여권 내부가 뒤숭숭해지고 결속력이 약화됐다는 분석이다. 그러면서 "그런데도 용산은 최소한의 사과도 설명도 않은 채 방어 태도만 취하고 있다. 대통령 거부권으로 언제까지 상황을 모면할 수 있다고 믿는 건지 묻지 않을 수 없다"는 말로 사설을 끝맺었다.
동아일보가 이렇게 연일 칼럼과 사설을 통해 이런 주장을 한 이유는 그들이 보기에 윤석열 정부가 정권 재창출을 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존재가 김건희 여사이기 때문이라고 봤기 때문이라 분석된다.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바닥을 기는 것 역시 이 '김건희 리스크'를 털고 가기는커녕 같이 안고 수렁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동아일보의 분석이다.
그러므로 김건희 여사를 제물로 바쳐 '김건희 리스크'를 털어내야만 보수가 재집권에 성공할 수 있다는 충고다. 하지만 문제는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과연 동아일보의 이 애타는 호소를 귀담아 들을 것인지다. 이미 동아일보는 작년부터 '김건희 리스크' 해소를 주문하고 나섰지만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그 말을 들은 척도 하지 않았다고 봐야 한다.
그러니 앞으로도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가 동아일보의 호소를 귀담아 들을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그저 윤석열 대통령의 잦은 거부권 행사에 위기감을 느낀 국민의힘 개별 의원들의 양심적 판단에 맡기는 것 외에는 답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