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서울고등검찰이 김건희 씨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 항고사건에 대한 재기수사를 결정한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 씨의 명품백 수수 의혹 건은 기각하고 주가조작만 다시 다루는 속내가 의심스럽다는 것이다. 특히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기소와 맞물려 진행하는 검찰의 태도에도 규탄이 쏟아진다.
김성회 대변인은 25일 오후 브리핑에서 "심우정 총장의 말(수사지휘권 행사)로 6개월을 흘려보냈다"며 "이번에는 재기수사를 한다는 말로 또 얼마간의 시간을 벌어볼 속셈이냐?"고 물었다.
이어 "'사위의 월급은 장인의 뇌물'이라는 기괴한 논리로 문재인 전 대통령을 기소해놓고 뒤늦게 김건희에 대한 재기수사로 눈 가리고 아웅 할 것이냐?"고 했다.
또한 "주가조작에 대해 재기수사를 한다고 하지만 영상 증거까지 남은 명품백 수수를 어물쩍 넘겨주려는 검찰이 진실을 밝힐 수 있을지 깊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조국혁신당도 윤재관 대변인의 논평에서 "주가조작은 되고, 디올백은 안 된다는 검찰의 패악을 고칠 약은 없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검찰은 끝까지 검찰권 행사를 선택적으로 발동하면서 김건희를 위해 '봉사'했다"며 "선명한 영상으로 확인된 디올백 사건 수사를 끝까지 막은 검찰의 결정을 이해할 국민은 없다"고 했다.
덧붙여 "태세전환 흉내의 진짜 이유가, 진실규명과 김건희 처벌이 아니라 특검 발동 전 사전정지 작업을 하겠다는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5당은 이날 오후 '김건희 특검법'을 다시 발의한다. '김건희 특검법'은 윤석열 전 대통령 재임 시기 3차례, 최상목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 시기 1차례 거부된 바 있다.
이날 발의한 '김건희 특검법'엔 지난 17일 국회에서 부결된 '명태균 특검법'도 포함 시켰다. '내란 특검법'도 마찬가지로 재추진한다. 민주당은 이에 더해 '채상병 특검법'까지 3개를 '패키지'로 묶어 의결을 시도한다는 전략이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3대 특검'에 대해 "공통 분모 뿌리는 김건희"라며 "기존 명태균 특검과 김건희 상설특검보다 수사 범위가 넓어질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