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지난 1월 윤석열 대통령실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할 목적으로 극우 유튜버를 위시로 한 민간인 시위대를 동원하려 한 정황이 포착돼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9일 연합뉴스는 자체 취재를 통해 당시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실에 근무했던 성삼영 행정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가 임박한 올해 1월 탄핵 반대 집회를 이끌었던 극우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 운영자 신혜식 씨와 여러 차례 연락을 주고받았다고 전했다. 신 씨는 탄핵 국면에서 극우 목사 전광훈 씨와 탄핵 반대 집회를 여는 등 활동을 함께 했다.
문제의 성삼영 행정관은 지난 1월 20일 윤 전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출석을 약 7시간 앞두고 자신이 "대통령실 성삼영 행정관"이라며 "대통령께서 헌법재판소에 직접 출석하신다", "응원이 필요하다" "안국역에서 헌법재판소로 향하는 모든 곳에서 대통령을 응원해 주시길 바란다"는 게시글을 올린 사실이 알려져 논란을 일으킨 바 있었다.
즉, 현직 대통령실 행정관이 윤석열 당시 대통령 지지자들의 장외 집결을 요청한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큰 문제인데 윤 전 대통령 지지층들을 선동해 수사기관의 적법한 영장 집행마저도 방해하려 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당시 윤석열 대통령실의 기강이 얼마나 해이했고 또 정권 사수를 위해선 준법 정신도 내던졌다는 것이기에 큰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연합뉴스는 신 씨가 공수처가 윤 전 대통령을 체포하기 전날인 1월 14일 오전 성삼영 행정관에게 전화를 걸어 "위기 상황에서 누가 도와주는데 이래라저래라하는 거냐"고 항의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대통령 관저 뒤에) 차 한 대만 놓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1000명을 보내라고 하고, 언제 들어오는지도 모르는데 왔다 갔다 하라고 그러고, 도대체 뭔 작전을 세우는 것이냐"라고 화를 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신 씨는 성 행정관에게 욕설을 내뱉으며 "위기 상황에서 시민단체를 예전처럼 '똘마니'로 두고 부려먹으려 하는 것이냐"고 언성을 높였고 성 전 행정관은 연신 "죄송하다"고 답했다고 했다.
또 성삼영 전 행정관은 공수처가 윤석열 전 대통령을 상대로 1차 체포영장을 집행하려다 경호처의 방해로 실패한 직후인 1월 3일 밤에도 신혜식 씨에게 관저 인근 지도와 함께 '지지자 결집'을 요청하는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고 한다.
그는 "별표 위치에 어린이 놀이터가 있다. 그곳에서 대비해줘야 한다. 매봉산 철책 넘으면 바로 관저"라며 "현재 군경의 지원이 어려워 경호처 인력이 대응하기 어렵다. 지지자 결집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노총 X들이 오늘 밤 등산로를 이용해 관저를 덮친다는 첩보가 있다. 산으로 침입할 경우 경호 인력만으로는 막아내기 어려울 것 같다"고 덧붙였다.
민주노총은 이튿날 오후 윤 전 대통령 체포를 촉구하며 관저 방면으로 행진을 시도하다 경찰과 충돌했으나 관저 난입을 시도하는 등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그 밖에 성 전 행정관은 1월 13일에도 "1월 17일 12시에 점심을 한번 하려 한다"며 만남을 요청했으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현직 대통령실 행정관이 '첩보'를 언급하며 관저 인근 지도까지 공유한 점 등으로 미뤄볼 때 대통령실이 민간인 동원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또한 성 전 행정관의 '윗선'인 시민사회수석실 주관성 1비서관·정호윤 2비서관·정호성 3비서관은 체포영장 집행 당시에도 관저 내부에 남아 윤 전 대통령을 배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신혜식 씨는 연합뉴스에 "5톤 트럭을 동원해 관저 정문을 막으라는 등 지속적 요청이 있었으나 응하지 않았다"며 "서부지법 사태에도 대통령실이 관여돼있을 가능성을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그는 서부지법 난동을 교사한 혐의로 전광훈 목사 등과 함께 경찰 수사선상에 올라 있으며 출국금지된 상태다.
연합뉴스는 성 전 행정관의 해명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응답을 받지 못했다고 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