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설인호 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전 국민적 애도 분위기가 형성된 가운데, 12.3 내란 사태 수사를 지연시키려는 정부와 여당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경제부총리)는 참사 발생일인 지난 29일 전남 무안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새해 1월 4일까지를 '국가 애도기간'으로 정했다.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이후 자신에게 쏠린 부담을 덜어낼 썩 좋은 핑곗거리가 생긴 셈이다.
국민의힘은 일단 소관 상임위원들을 중심으로 한 '사고수습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무안으로 달려갔다.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긴급 현안회의에서 "여야가 정쟁을 멈추고 사태 수습에 전력을 다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30일 전국위원회를 통해 공식적으로 비상대책위원장을 맡게 되는 권영세 의원 또한 이같은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여전히 국가수사본부 수사 비협조 등으로 시간끌기에 여념이 없는 모습이다. 그 와중 자신의 SNS에 "모든 구조 인력의 안전도 최우선으로 지켜질 수 있도록 힘써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는 뻔뻔함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도 참사 현장에 사고대책위를 꾸리고 수습과 지원에 나섰다. 다만 최 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촉구 목소리는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강유정 대변인은 "최상목 대행은 즉각 헌법재판관 임명하고 내란 특검을 공포해 12월 3일에 막지 못했던 참극의 도미노를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최 대행 '탄핵'을 못 박지는 않았다. 이러한 태도는 김윤덕 사무총장의 발언에서도 감지된다. 김 사무총장은 참사 발생 이후 "기한을 두거나 마지노선 설정하지 않았다"며 "(최 대행의 결정을) 인내심 있게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조국혁신당 또한 마찬가지로 국회를 떠나 현장에서 최고위를 열었다. 최 대행에 대한 압박의 수위는 민주당보다 높다.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은 "(헌법재판관을) 즉각 임명하지 않으면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의 의무 또한 위반이고 의무를 위반할 경우는 다시 '탄핵 사유'가 된다"며 "최상목 권한대행은 빨리 입장을 정리하고 상황을 종결하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