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정치 브로커 명태균이 2022년 6월 경 용산 대통령실의 지시를 받아 자체 여론 동향 등을 조사해 보고하는 등 이른바 '비선 여의도연구원'을 구상했다는 증언이 3일 저녁 한겨레 단독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국민의힘의 전통적인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 외에 용산 대통령실 직속 비선 조직을 만들어 여론조사와 정책개발 업무를 담당하려 했다는 것이다.
한겨레21은 김건희-명태균 게이트의 핵심 제보자 강혜경 씨와 지난 1일 서울 김포국제공항 근처 한 사무실에서 만나 진행한 단독 인터뷰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22년 6월 경 명태균이 김영선 전 의원을 윽박지른 전화 통화 내용에 대해 “명씨는 여의도연구원처럼 자체 조사를 해서 용산 내부 보고용 조사를 하는 용산만의 싱크탱크나 연구소처럼 기능을 해보려고 한 것”이라 전했다.
아울러 강 씨는 "명씨가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윤 대통령과 통화하고 김건희 여사와는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 밖에 같은 시기 명태균이 “용산에서 하는 정기 여론조사를 수주할 것”이라며 “용산에서 정기적으로 발주를 줄 것인데, 이는 여의도연구원처럼 참고용 자체 조사를 하는 것으로 정치사회 관련한 용역이라서 받는 것도 문제없고 만드는 데도 문제없다”고 말했다고도 했다.
지난 10월 31일 더불어민주당 공보국이 공개한 명태균과 김영선 전 의원의 2022년 6월 경 대화 녹취록을 들어보면 명태균이 “대통령이 알아서 하겠다고 하는데 왜 그래요? 내가 지시받았댔잖아. 오더 내려왔다 했잖아. 김건희가 권력을 쥐고 있잖아요. 권력 쥔 사람이 오더(지시)를 내리는데 본인이 왜 잡소리 합니까?”라며 김 전 의원을 윽박질렀다.
한겨레21은 강혜경 씨가 명태균이 김건희 여사를 통해 윤 대통령에게서 여론 동향 파악을 위한 ‘비선’ 방식의 여론조사를 받아왔는데 미래한국연구소를 서울로 확장해 언론사 등으로부터도 여론조사를 수주하는 정식 연구소로 운영하는 방안을 구상한 김 전 의원과 충돌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김영선 전 의원이 명태균과 상의 없이 서울 중구 남대문로 미래한국연구소 서울지점을 이런 구상의 전진 기지로 운영하려 해 그 때문에 명태균이 화를 낸 것이라고도 설명했다. 또 한겨레는 김영선 전 의원의 이런 구상이 용산 대통령실 쪽에서도 거부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 근거로 당시 명태균이 김영선 전 의원과 한 통화에서 “오늘 전화해서 윤석열이 뭐라 카는지 압니까, 내한테? 시키면 왜 시키는 대로 안 합니까 자꾸?”라며 “내가 그러면 그 앉아갖고 그 언론사 해갖고 요리조리 해갖고 언론사 장사, 장사 해무까예? 예? 그럼 김건희하고 대통령이 내보고 뭐라 카겠습니까?”라고 말한 것을 들었다.
또 명태균은 그 날 통화에서 “내가 대통령한테 대통령이 됐는데 당신은 정권 교체에 의해서 여론이 적으니까 그냥 이해하고 그래 하고 이러까예”라며 “청와대(용산)에서 지역 조사하는 거 ARS 돌리는 거 그거 받아야지예. 내가 이문을 남거나, 돈을 벌거나, 어떤 행위를 하게 되면 대표님하고는 아무도 공천 못 받아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겨레21은 이를 통해 미공표 여론조사를 통해 윤 대통령 지지율을 보정해 보고해왔고, 이는 김 전 의원 공천과 무관하지 않음을 시사한다고 봤다. 또한 용산 대통령실과 명태균 사이 이런 교감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윤 대통령의 위법 논란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한겨레21과 인터뷰를 한 헌법학자 임지봉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대통령이) 여론조사 때 비선 조직을 활용해 비용을 지출했다면 목적에 따라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볼 여지는 있다”고 말했다.
이준일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역시도 “취임 이후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여론조사를 해주는 대가로 금품이나 공천권 같은 대가를 제공한 것이라면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탄핵 사유가 될 수 있고, 공직선거법상 공무원의 선거 개입에 해당할 수도 있다”고 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은 “윤 대통령이 ‘경선 무렵 (명씨와) 관계를 끊었다가 오랜만에 축하 전화를 받은 것’이라던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의 해명이 거짓으로 들통났다”며 “대선을 거치며 미공표 여론조사의 힘을 확인한 윤 대통령이 취임 뒤에도 비선인 명씨를 통해 지지율 등 민심을 조작하려 한 것 아닌지 특검을 통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겨레21은 이 의혹과 관련해 3일 대통령실에 해명을 요청했지만, 대통령실은 답변을 해오지 않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굿모닝충청TV 